[ 빈곤 종식 ] (1.2.6) 제주대학교, 제주어·설화·지명 기록으로 지역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합니다
· 작성자 : 대학본부 ·작성일 : 2025-11-10 16:18:55 ·조회수 : 79
1) 추진 배경
제주대학교는 지역 공동체가 지닌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전승·보존하기 위해 제주어(濟州語) 등 무형문화유산 기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주어는 대한민국 최남단 섬인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사용된 고유의 언어로서, 고립된 섬 환경과 독특한 생활문화가 반영된 언어적·문화적 자산입니다.
UNESCO(유네스코) 등 문화기구에서는 지역언어 · 구술전통 · 민속지식 등을 무형문화유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게 제주대학교는 제주어 전승·기록 활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2024 주요 실적(공식 링크)
-
청소년 제주어 교육(도내 13개교 운영): 9–11월 교과형·참여형 제주어 교육 운영, 만족도 확인
-
해설사 제주어 교육(총 15회·현장답사·수료증 발급)
-
제주어 말하기 대회(대학생·청소년 공개 경연)
-
탐라문화연구원–한국지명학회 공동학술대회(제주어·지명·설화 연구 발표)
-
국어국문학과 마을 학술조사(제주어·설화·신앙·민요 채록, 전시·보고 예정)
-
인문도시사업단 대중 프로그램(인문주간·삼다 인문학 등)
-
디지털 전승 시도(제주어 학습 앱 아이디어 수상)
3) 사업 내용
-
언어 전승 교육: 학교·현장 연계 수업, 해설사 양성, 수료 체계 운영
-
구술·채록 연구: 마을 대상 제주어·설화·의례·민요 조사, 전시·보고서 간행
-
학술 확산: 지명·언어·설화 학술대회 및 콜로키움, 지역 네트워크 구축
-
대중 참여: 제주어 말하기 대회, 인문주간 문화행사, 시민 강좌
-
디지털 보존: 교육 자료 표준화·DB화, 앱/콘텐츠 기반 전승 시범
4) 대표 성과(요약)
-
도내 중·고교 13개교 참여형 제주어 교육 운영
-
총 15회 해설사 제주어 교육 및 수료증 발급
-
공개 경연을 통한 제주어 사용 확산(말하기 대회)
-
지명·언어·설화 연구성과 공개(공동학술대회·현지조사)
총 5페이지 / 현재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