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홍보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명예교수회 재능기부뱅크 이사장 강민수 탐鳥회(활동성과)전문서 발행

· 작성자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24-12-31 17:58:28     ·조회수 : 136

 

 

명예교수회 재능기부뱅크 강민수 이사장은 근래 명예교수회 탐조회(探鳥會) 활동성과(2023.11~ 2024.11)를 잘 엮어서 멸종위기 야생조류이자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61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노랑부리중대백로를 대상으로 람사르습지도시 조천읍(朝天邑) 신촌리(新村里) ‘남생이 연못에서 올해 2024년 봄철부터 가을철에 걸쳐 현장관찰을 계속 진행하고 매우 귀하게 얻어낸 소중한 사진 및 동영상자료들을 잘 분석 정리해 한 권의 전자책(PDF) 노랑부리중대백로의 먹이사냥이란 주제로 출간(C&P 제주대학교점 발행)해 국립중앙도서관(ISBN 979-11-989570-5-4)에 납품 소장하게 됐다. 백로(白鷺)류 자체는 굉장히 흔하지만 백로 중 노랑부리백로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보기 드문 희귀종에 속한다.

濟馬조류도감은 조류종별 시리즈로서 1.濟馬 강민수 박사(2024). 노랑부리대백로 먹이활동 & 비상(飛翔) 제주대학교 명예교수회 재능기부뱅크(이사장 강민수) 자연환경보호 & 멸종위기 야생조류 탐조회(探鳥會)의 발간에 이어서 곧 2.濟馬 강민수 박사(2024). 저어새, 3.濟馬 강민수 박사(2025). 노랑부리중백로, 4.濟馬 강민수 박사(2025). 검정부리대백로, 5.濟馬 강민수 박사(2025). 쇠백로. 6.濟馬 강민수 박사(2025). 왜가리, 7.濟馬 강민수 박사(2025). 흑로(黑鷺), 8.濟馬 강민수 박사(2025) 황로(黃鷺), 9.濟馬 강민수 박사(2025) 덤불헤오라기 순으로 2025년도 초에 모두 전자책으로 발간 원고작성을 이미 완료한 상황이다.

강민수 이사장은 제주대학교 명예교수회 작년 2023년도의 재능기부사업으로 원로교수들의 연구교육의 주제(원하는 명예교수 중심으로)를 한 데 모아 소위 제주대학교 명예교수회 재능기부인재 풀을 만들어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김광수)와의 긴밀한 협력관계로 도내 일선 중등교육현장에 연결시켜서 첫 성과(2023.12. 대정여교 재학생 대상 특강 실시, 정대연 명예교수, 김두철 명예교수 담당)를 기쁘게 올리기도 했을 뿐만 아니라 2024년도에는 제주시청(시장 김완근)의 재정지원으로 이뤄지고 있는 성공대학의 프로그램 운영에도 제주대학교 명예교수회 재능기부인재 풀을 적극 활용 명예교수들이 특강연사로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조성하는데 노력했다. 더불어 도내 일선중등교육계에 더해 1, 2, 3차산업의 생산현장 CEO를 대상으로 하는 성공대학(도내 각 농협에서 운영)으로 명예교수들의 재능기부 지경을 더 넓혀 나가도록 하는데 확산 체계를 구축했다. 이어 제주대학교 명예교수들이 제주특별자치도의 더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 적극적 참여기회를 잘 마련하는데도 일조할 수 있었던 의미 깊은 했다고 회고해 주었다.

강민수 이사장은 명예교수회 탐조회(探鳥會)의 기초적인 새로운 성과들을 더 분석 정리해 노랑부리중대백로의 먹이사냥전자책 발간(2024)에 이어 저어새’, ‘검정부리중대백로’, ‘쇠백로’, ‘왜가리’, ‘흑로(黑鷺)’, ‘황로(黃鷺)’, ‘덤불헤오라기등의 탐조회의 관찰기초조사 성과물들을 분석 정리하고 지속적으로 발간함으로서 현재 공부하고 있는 청소년들과 대학생 나아가 이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있는 국민들에게까지 조그만 기쁨이라도 줄 수 있었으면 참 좋겠으며, 이런 야생조류들의 과학적 기초자료를 널리 이용 보호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강민수 이사장은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영향평가위원(동물분야 담당)으로서 8(215.4~ 2017.03), 9(2017.4~2019.03)를 역임(歷任)한 바 있고, 제주특별자치도 명예환경보호위원(2019.04 ~2020.03)으로서 도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2 맹꽁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애기뿔소똥구리 등의 보호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헌신 확약 한 바도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황조롱이, , 흰꼬리수리, 참수리, 독수리 등 맹금류의 보호대책 마련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도내 건설현장의 업주들에게 우선적으로 보호대책을 철저히 수립하도록 강력한 주문을 요청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 동물분야전문가의 한 사람으로서 환경영향평가위원으로서의 보람과 긍지를 잃지 않고 가슴속에 새겨 힘차게 활약 헌신했다고도 작은 목소리로 전해주기도 했다.


강민수 명예교수.jpg (26 KBytes) 파일저장notice

담당부서
제주대학교 기획처 전략기획과 
연락처
064-754-204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