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홍보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2025년도 한국수산과학회 국제학술대회 구두 발표상 수상

· 작성자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25-07-02 11:01:29     ·조회수 : 136

 

 

사진설명=왼쪽부터 DISSANAYAKE DINUSHA SHIROMALA, RAJASINGHE PELI GEDARA SEWWANDI, WANG XUEYU, XIAO DANDAN, 김찬영, 심재학, 이상운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소속 석박사통합과정 이상운, 김찬영, RAJASINGHE PELI GEDARA SEWWANDI, DISSANAYAKE DINUSHA SHIROMALA, 석사과정 심재학, 박사과정 WANG XUEYU, XIAO DANDAN (지도교수 전유진)57일부터 59일까지 3일간 휘닉스 아일랜드 제주에서 개최된 2025년도 한국수산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구두 발표상을 수상했다.

이상운 학생은 Cultivated vs. wild Ecklonia cava: A metabolomic and bioactivity comparsion’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자연산 감태를 대체할 수 있는 양식산 감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양식산과 자연산 감태 간의 대사체 구성 및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항염증 생리활성과 개별 대사체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생리활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대사체들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김찬영 학생은 ESI-TOF MS-base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fucoidan derived from Sargassum fusiforme and its anti-inflammatory potential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갈조류 톳(Sargassum fusiforme)에서 추출한 황산화 다당류(SFF-F5)의 구조를 분석하고, 해당 물질이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고 TLR4-MD2 복합체의 이합체화를 방해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황산기 함량과 특정 당 구조가 항염 활성에 기여함을 밝힘으로써, 해조류 유래 다당류의 구조적 특성이 기능성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을 제시했다.

RAJASINGHE PELI GEDARA SEWWANDI 학생은 ‘Alcalase-assisted hydrolysates of Mytilus edulis mitigate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홍합(Mytilus edulis) 유래 가수분해물의 근위축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가장 효과적인 효소 처리 조건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됐다. 이번 발표에서는 AMH의 생리활성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근위축 회복을 위한 영양학적 개입 소재로서의 가능성과 기능성 식품 및 치료 보조제로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DISSANAYAKE DINUSHA SHIROMALA 학생은 ‘Title-Optimized large-scale production of Sargassum thunbergii fucoidan extract via hot water extraction and its immunostimulatory effects on RAW 264.7 murine macrophages’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단순하고 경제적인 온수 추출법을 이용해 조후코이단(crude fucoidan)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최적화된 온수 추출 공정의 유효성과 함께, 조후코이단의 성분 분석 결과 및 면역 증진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심재학 학생은 ‘Antihypertensive potential of α-Chymotrypsin hydrolysate from Sebastes schlegelii via ACE inhibition and vascular protection’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조피볼락 유래 단백질 가수분해물 SSA의 혈압 조절 효과를 평가했다. SSAACE 저해 활성과 고혈압 동물모델에서 혈압 강하 및 심혈관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저분자 펩타이드 SSA-F1이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SSA-F1의 활성과 ACE 결합 기전을 중심으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WANG XUEYU 학생은 ‘Fucoidan from Myelophycus caepitosus regulates LPS-induced inflammation in vitro and in vivo’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동아시아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활용 해조류 Myelophycus caepitosus의 기능성을 평가했다. 후코이단은 in vitro in vivo에서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냈다. 이번 발표에서는 M. caepitosus 유래 후코이단의 항염 효과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XIAO DANDAN 학생은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nzyme-assisted hydrolysate from Ecklonia maxima blades and stipe’을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는 Ecklonia maxima 엽체와 줄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여 활용 가능성을 평가했다. 두 부위에서 얻은 효소 가수분해물은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엽체와 줄기 유래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 차이와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증명사진.jpg (201 KBytes) 파일저장notice

담당부서
제주대학교 기획처 전략기획과 
연락처
064-754-204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