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홍보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제주대 지능SW교육연구소, 정보과학과 미래교육 워크숍 개최

· 작성자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25-07-16 11:10:52     ·조회수 : 101

 

 

생성형 인공지능과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정보과학 및 AI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정보과학과 미래교육 워크숍이 지난 7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은 한국정보과학회 교육위원회, 한국과학창의재단,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가 공동 주최·주관했으며,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CC2025)와 연계해 열렸다.

이번 행사는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질적인 AI SW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커리큘럼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SW AI 교육에 관심 있는 교원, 연구자, 정책 담당자 등이 참석해 교육 현장의 현안과 미래 전략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벌였다.

워크숍은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정보과학교육 정책, 실천 사례, 대학의 교육 혁신 사례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뤘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초·중등 정보과학교육 정책과 실천 사례를 발표했다. 성정숙 팀장(디지털정보교육팀)은 생성형 AI 시대에 맞춘 교육 정책 방향을 소개했고, 김종범 선임(SWAI인재양성팀)은 청소년 SW 동행 프로젝트를 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과를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초대 학장을 지낸 국민대학교 이민석 교수가 프로젝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실무 중심의 SW 교육이 가져올 변화와 기대 효과를 강조하며,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젝트 기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2024년 한국정보과학회에서 선정한 대학 교육 혁신 우수 사례들이 소개됐다. 경기대학교 권기현 교수의 ‘K-Scrum 기반 교육’, 전북대학교 박현진 교수의 ‘JEduTools 활용 수업 사례’, 아주대학교 서주영 교수의 데이터 분석 중심 기초 SW 교육등은 실질적 효과와 높은 확산 가능성으로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생성형 AI 시대에 적합한 정보과학 교육의 방향성을 함께 모색하고, 다양한 교육 현장의 성공적인 실천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향후 커리큘럼 개선과 교육 혁신을 위한 논의의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정보과학회 교육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제주대학교 조정원 교수는 이번 워크숍은 교육 관련 정책과 현장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했다, “다양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의견을 토대로, 생성형 AI 시대에 부합하는 정보과학 및 AI 교육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본 워크숍은 KCC2025 공식 부대행사로 진행됐으며, 참가자 전원에게는 발표자료집이 제공되었고, 세션 발표 영상은 편집 작업 후에 한국정보과학회 공식 유튜브(https://www.youtube.com/@kiise_online)에서 확인 가능하다.


단체사진 (3).jpg (665 KBytes) 파일저장notice

담당부서
제주대학교 기획처 전략기획과 
연락처
064-754-204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