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홍보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자원순환 실천·정책 한자리에… 자원순환 포럼 성료

· 작성자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25-09-09 11:05:06     ·조회수 : 138

 

 

정책·사례·청년활동 집중 조명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센터장 김진근 제주대학교 교수)95일 제주특별자치도와 공동으로 ‘2025 자원순환의 날 기념 포럼을 한라수목원 자연생태학습관 세미나실에서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순환경제 전환, 제주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지방정부, 기업, 시민단체, 청년, 시민 등 118명이 참석해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 방안을 모색했다.

자원순환의 날은 폐기물 감축과 재사용·재활용 촉진을 위한 법정기념일로, 이번 포럼은 제주의 선도 사례와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 기반 순환경제 모델 구축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개회식 후 정책 발표, 실천 사례 소개, 전문가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정근식 제주특별자치도 자원순환과장은 ‘2040 플라스틱 제로 제주기본계획 추진 현황과 재활용 인프라 확충, 일회용품 보증금제 확대 등 주요 정책 내용을 설명하며 제주도의 선도적 역할을 강조했다. 김무종 도담스튜디오 대표는 시민 참여 중심의 분리배출 실천과 다회용기 사용 확대 사례를 공유했다.

종합토론에서는 민···학 전문가들이 보증금제 정착, 업사이클 산업 지원, 관광 연계 자원순환 프로그램, 다회용기 세척 인프라 구축, 청년·시민단체의 참여 확대 등 다양한 의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제주관광공사의 플로깅·플로빙 프로그램과 그린키 인증 숙박시설 사례는 제주형 자원순환 모델의 국내외 확산 가능성도 확인시켰다.

같은날,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에서는 제주 청년 중심 환경참여 성과보고회가 열렸다. 이번 보고회는 청년 주도의 자원순환 실천 활동 성과를 공유하고, 성과의 실질적 확산과 청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발표는 제주대학교 대학생들이 중심이 돼 그린캠퍼스 서포터즈활동 등 4건의 실천 사례를 소개했다.

보고회를 통해 센터가 추진한 지역협력사업의 실질적 성과를 확인하고, 청년 중심 지속가능 환경 프로그램의 확대 방향도 논의됐다. 그린캠퍼스 서포터즈와 실천 캠페인은 자원순환 정책의 시민 확산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에서는 제주개발공사 후원으로 시민 대상 그린첵 실천 다짐 캠페인과 자원순환 정책 설문조사가 함께 진행돼, 시민 참여와 정책 공감대 형성에도 힘을 보탰다.

김진근 센터장은 이번 포럼과 보고회는 제주형 자원순환 모델을 실천하고 확산시키는 데 청년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한 자리였다, “앞으로도 제주대학교와 함께 민··학 협력을 강화해 순환경제 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자원순환 포럼.jpg (822 KBytes) 파일저장notice

자원순환 포럼2.jpg (797 KBytes) 파일저장notice

자원순환 포럼3.jpg (724 KBytes) 파일저장notice

담당부서
제주대학교 기획처 전략기획과 
연락처
064-754-204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