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홍보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2025년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자문위원회 개최

· 작성자 : 제주대학교     ·작성일 : 2025-10-14 11:05:06     ·조회수 : 60

 

 

제주지역 환경현안문제 해소를 위한 환경연구 본심사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김진근 센터장(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은 오는 1016일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3호관 교수회의실에서 `2025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자문위원회`를 개최해 2026년 연구개발사업 제안과제 15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

이번 자문위원회는 제주지역 환경현안문제 해소를 위한 환경기술개발, 환경조사, 환경정책 연구과제들을 심도있게 심사하고, 연구성과의 정책·현장 적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적용하여 운영된다.

(null)

센터는 이번 자문위원회를 앞두고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쳤다. 연구과제 제안서 공모 과정에서 제주지역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고, 연구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 하기 위한 연구과제들을 발굴하고자 `지역연계형 네트워크 협력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실무(영산강유역환경청+제주특별자치도+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워크숍`, `제주지역 특화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환경 거버넌스 실무자 회의` 등을 운영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910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제안서 공모에서 기술개발 4, 환경조사 2, 정책연구 9건이 포함된 총 15건의 연구과제 제안서가 접수되는 결실을 얻었다.

접수된 연구과제 제안서들은 연구과제의 중복여부 확인을 위해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차별성 검토, Jaccard TF-IDF 유사도 분석을 도입하여 사전검토를 진행해 중복성을 면밀히 체크하고 연구의 독창성과 현장 적용성을 확보했다. 이는 단순히 행정 절차를 넘어, 제주형 R&D가 데이터 기반·객관적 평가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null)

1016일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3호관 교수회의실에서 열릴 자문위원회는 센터장 김진근을 위원장으로 환경청·지자체·학계 전문가 총 9명이 참여해 연구과제 제안서를 심사한다. 심사는 성과 활용 가능성(30), 지원 필요성(25), 목표 구체성(20), 성공 가능성(15), 내용 타당성(10)으로 구성된 정량적 가중치 평가체계를 적용하고 공정성을 위해 최고·최저 점수를 제외하고 산술 평균하여 60점 이상을 받은 과제를 2026년도에 추진할 연구과제로 선정하게 된다. 다만,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의 2026년도 예산 상황에 따라 계획 대비 추진 과제수가 변동될 수는 있다.

(null)

자문위원회 이후의 일정으로 1020일 자문위원회 결과를 중앙녹색환경지원센터에 제출하고, 11월에는 환경부의 중복성 검토를 거칠 예정이다. 이어 12월부터 20261월까지 연구책임자 공모와 선정을 마치고, 20262월에 연구과제 협약을 체결하면 2026년도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의 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가 본격적으로 수행된다.

(null)

자문위원회 개최와 관련해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김진근 센터장은 우리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의 자문위원회는 단순한 연구 공모·선정 과정을 넘어, 연구 생태계 고도화와 지역 R&D 거버넌스 허브로서의 위상을 공고히할 것이다. 과제 기획부터 심사, 사후관리까지 데이터 기반의 공정한 절차를 확립하여 연구의 질과 속도를 함께 끌어올리겠다. 제주가 그리는 환경 R&D의 미래, 제주도의 지속가능성을 지키는 최전선에서 우리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가 연구와 정책, 현장과 거버넌스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대 전경 사진.jpg (277 KBytes) 파일저장notice

담당부서
제주대학교 기획처 전략기획과 
연락처
064-754-2046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