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3월 3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3-17 10:10:52      ·조회수 : 2,454     

제주대 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제주대학교의 모습을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침독서 바로가기 <팔로알토, 자본주의 그림자>


◈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 책 소개


팔로알토, 자본주의 그림자


1945~1975

군사/산업/학계의 단단한 블록화

리 드 포레스트의 오디온 트라이오드는 에디슨의 기본 전구에 비해 월등히 복잡한 건 아니었지만 진공관 무선통신 호황을 일으킨 주역이었다. 뿐만 아니라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팔로알토가 연방 전신이 떠난 뒤에도 지도에서 사라지지 않게 해준 마이크로파 기술의 기반이기도 했다. 게다가 트라이오드는 모두가 처음에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었다. 프레더릭 터먼, 알렉스 포니아토프, 찰스 리튼, 바리안 형제, 그리고 스탠퍼드의 나머지 팀(USA) 레이더 군단이 튜브와 파동의 힘을 이용해 히 틀러를 물리쳤다면 연합군의 또 다른 집단은 트라이오드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하지만 무언가를 할 수 있다고 해서 반드시 해야만 하는 건 아니다. 초기 컴퓨터로 뭘 할 수 있겠는가? 실제로 이렇다 할 기능이 많지 않아서 오디온 발명 이후 35년이 지난 뒤에야 진공관 컴퓨터가 선을 보였다. 마침 연합군이 나치 독일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다양한 조건 속에서 포탄이 그릴 궤적을 계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2차 세계대전이야말로 전자 컴퓨터 개발의 도화선이었다. 트라이오드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원이 필요했는데 이를 기꺼이 투입할 만큼 중대한 계기가 되어준 것이다.


스탠퍼드의 많은 유명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쟁기술에 몰두했다. 리튼은 뉴어크의 ITT로, 휴렛은 미 육군으로, 프레더릭 터먼은 케임브리지의 RRL로, 쇼클리는 대잠수함전 작전 연구 그룹으로, 바리안 형제는 뉴욕의 스페리 자이로스코프로, 핸슨은 MIT로 각각 파견되었다. 그 사이 데이브 팩커드는 고향에서 휴렛팩커드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었다. HP가 2차 세계대전을 위한 무기나 장비를 직접 납품한 건 아니었지만 미군에서 HP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고 연방정부로부터 하도급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미군이 전쟁에 막 발을 담그려던 시점에는 특수 무선통신 및 마이크로파 기술과제를 의뢰받았다. 가장 큰 프로젝트는 레이더에 대응해 적의 스캐너에 가짜 위치신호를 보내는 레오파드 프로젝트였다. 터먼의 무선통신 연구는 RRL 밖에서도 전쟁기술에 기여해 레오파드 프로젝트의 경우, 그가 학생들을 위해 설계한 상업화 경로가 사용되었다.


1095페이지 / 현재 55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0810 (마감)2025학년도 1학기 박물관 교내근로 장학생 선발.. 2 박물관 2025-02-18 2390
20809 제주대학교 JEBS 방송국 국원을 모집합니다.. 2 신문방송출판부 2025-02-18 1810
20808 2025 상반기 한화시스템 취업준비반 참가자 모집 안내..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2-18 2273
20807 제주대신문에서 수습기자를 모집합니다.. 2 신문방송출판부 2025-02-18 2056
20806 (교육혁신과-교양강의동) 2025-1학기 교내근로 장학생.. 2 대학본부 2025-02-18 2401
20805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자체직원(기간제 계약직) 채용.. 2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5-02-17 2124
20804 (완료)2025학년도 1학기 국가근로 장애대학생도우미 .. 장애학생지원센터 2025-02-17 1506
20803 (WISET제주지역센터) 2025학년도 1학기 교내 근로장학.. 1 WISET제주지역센터 2025-02-17 3262
20802 [학생상담센터] 2025학년도 1학기 교내근로장학생 (.. 1 학생상담센터 2025-02-17 3033
20801 (중요) 대학 본관 및 대학원동 사무실 이전 안내.. 대학본부 2025-02-17 22214
20800 (마감)[국제교류과(언어교육원)] '25학년도 1학기 교.. 1 국제교류과 2025-02-17 2690
20799 2025년 제주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 IR센터 데이터분.. 대학본부 2025-02-17 1858
20798 2024학년도 전기(제69회, 2025. 2월) 학위수여식 행사.. 1 대학본부 2025-02-16 2573
20797 졸업생 취업지원 수요조사 및 취업현황 자가등록 이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2-16 2323
20796 대학본관 리모델링에 따른 교통상황실 이전 안내.. 1 총무과 2025-02-14 6468
20795 2025년 상반기 교통관리 업무보조 학생 채용 서류전형.. 1 총무과 2025-02-14 2216
20794 제주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포럼 안내.. 제주지역혁신플랫폼 청정바이오사업단 2025-02-13 2127
20793 (협업기업 홍보)KB금융그룹과 함께하는 KB라이프파트..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2-13 2051
20792 JOY공유대학 LED 기반 XR 스튜디오형 강의실 오프닝 .. 1 제주RIS 대학교육혁신본부 2025-02-13 2424
20791 2025학년도 최고해양수산업경영자과정 제19기 신입생 .. 4 제4행정실.해양과학대학 2025-02-13 2276

... 51 52 53 54 55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