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6월 2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6-09 09:20:34      ·조회수 : 2,974     

제주대 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제주대학교의 모습을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아침독서 바로가기 <펄럭이는 세계사>
 

◈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펄럭이는 세계사

세계 곳곳의 삼색기
18세기가 끝나가던 1789년과 1799년 사이, 프랑스는 대격변의 물결에 휩쓸렸다. 절대군주제는 사라졌고 여러 나라가 혁명전쟁에 시달렸다. 이 장은 유럽을 완전히 뒤집어놓고 지도를 근본적으로 다시 그린 ‘프랑스혁명’에 관한 이야기다.

깃발 애호가들 사이에서 프랑스혁명은 특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 유명한 프랑스 삼색기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삼색기는 전 세계 혁명가의 이성과 감정을 송두리째 흔들고 다수의 주권국 국기에 실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할 만한 영향력을 자랑하는 국기는 영국의 유니언잭이 유일한데, 영국 국기가 식민지 확장을 통해 위상을 다졌다면 프랑스 국기는 삼색기가 상징하는 자유, 평등, 박애라는 원칙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다.

삼색기의 기원은 1789년 바스티유 감옥 습격 사건과 관련이 깊다. 파리 시민은 프랑스 왕정을 상징하는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였고, 이 사건이 프랑스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당시 혁명군은 파리의 상징색인 파랑과 빨강으로 된 모표를 모자에 달고 다녔다. 그해 혁명군의 압박에 못 이겨 소집된 국민 제헌의회는 단순화 된 도안의 국기를 채택했다. 프랑스가 과거와의 단절을 꾀한다는 걸 전 세계에 알리는 도안이었다.

부르봉 왕가를 상징하는 중앙의 흰색이 파리의 상징색인 파란색과 인민을 상징하는 빨간색에 둘러싸인 모습이었다. 헌법에 의해 권리를 보장받은 국민이 군주를 통제한다는 뜻이 담겨 있었다.

처음 몇 년간은 삼색기의 줄무늬 순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빨강, 하양, 파랑 순이었다. 그러다 프랑스대혁명으로 탄생한 제1공화국은 1794년에 삼색기를 공식적으로 프랑스 국기로 채택하였는데, 이때 순서가 반대로 되며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파리 시기의 색 배열을 반영했거나, 아니면 단순히 미적 취향의 문제였을 수 있다.

프랑스혁명은 인권에 대한 높은 이상에서 시작했지만 이내 공포정치로 바뀌고 말았다. 파리의 단두대는 거의 하루도 쉴 날이 없었고 ‘공공의 적’을 바지선에 태워 센강으로 데려가 대포를 쏘기도 했다. 1795년부터 프랑스를 통치한 집정부는 공포정치의 종식을 목표로 삼았지만 1799년 나폴레옹이 일으킨 쿠데타에 의해 전복되고 말았다. 나폴레옹은 집권 후 국기를 손보기도 했다. 원래는 줄무늬 폭의 비율이 파랑 30, 하양 33, 빨강 37로 조금씩 달랐지만, 모두 같은 폭으로 조정한 것이다.

이제 다시 나폴레옹 이후의 프랑스로 돌아가보자. 왕정은 오래가지 못했고 곧바로 프랑스 국기는 혁명군을 대표하는 삼색기로 돌아왔다.

그러다 1871년 사회주의 자치 정부인 파리코뮌이 72일간 권력을 장악하면서 프랑스의 삼색기는 다시 한번 공식적인 지위를 상실했다. 이 기간에 프랑스 국기는 아무 무늬 없는 빨간색 깃발이었다. 그 이후로 빨간색은 공산주의를 상징하게 되었으니 프랑스 국기가 소련과 중국 국기를 앞서간 셈이다.


1094페이지 / 현재 36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179 2026년 인사혁신처 지역인재 7급 선발시험 대비 지원.. 1 진로취업과 2025-06-04 3581
21178 [교수학습지원센터] 지역사회연계 창의적 문제해결 워.. 1 교수학습지원센터 2025-06-04 2968
21177 [마감][경영혁신지원실] 2025학년도 1학기 대체 국가.. 1 경영혁신지원실 2025-06-04 3421
21176 ★2025년 대학생 경제교육강사 모집★ 2 제주지역경제교육센터 2025-06-04 3476
21175 제주대학교 2025학년도 학사제도개선 미소 서포터즈 .. 1 교육혁신과 2025-06-02 4386
21174 2025-2026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국제관광문화유산대.. 1 국제교류처 2025-06-02 3661
21173 2025년 제7회 대학회계무기(전문)계약직(행정사무, 환.. 1 총무과 2025-06-02 3967
21172 [진로취업과] 진로취업 프로그램 소식지 6월호.. 진로취업 2025-06-02 3492
21171 2024 공개강좌 운영 정보공개 3 대학본부 2025-06-02 3163
21170 📢2025 창업동아리 모집 연장(~6/4(수)).. 3 창업지원단 2025-06-02 3086
21169 「책 읽는 제주대학교」 6월 1주차 중앙도서관 2025-06-02 2739
21168 [언어교육원]2025학년도 교내 토익특별반 여름학기 강.. 2 국제교류처 2025-06-02 3152
21167 (국립중앙도서관)청년 디지털 봉사단 '잇(IT)다' 7기 .. 2 학생복지과(학생) 2025-06-02 2715
21166 ★2025년 국립대학육성사업 키우미 서포터즈 모집★.. 1 대학본부 2025-06-02 3277
21165 (육성)2025. 1차 JNU나눔실천봉사단 봉사팀 모집 안내.. 7 학생복지과(학생) 2025-06-02 3110
21164 2025학년도 1학기(3차) 취업연계 국가근로장학사업 참.. 1 현장실습지원센터 2025-06-02 3194
21163 (종료)2025학년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비타민 C 지급.. 건강증진센터 2025-06-02 2858
21162 제주대학교 & 중국대외우호협회 청년 방문단 선발 결.. 1 상무공자학원 2025-05-31 3141
21161 (기간 연장~6/15일까지)2025 쿰다인문학 숏폼 콘텐츠 .. 1 탐라문화연구원 2025-05-30 2701
21160 (홍보) 2025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 멘토모집.. 4 학생상담센터 2025-05-30 3300

... 36 37 38 39 40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