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8월 1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8-04 09:09:07      ·조회수 : 3,280     

제주대학교 도서관에서는 학내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합니다.

 

◈ 아침독서 바로가기 <세상을 보는 눈, 융합지성사>


◈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 책 소개

세상을 보는 눈, 융합 지성사

- 융합적 사유로 읽는 지성의 계보 – 문명의 흐름과 인간 이해의 역사

문명의 기원과 지성의 씨앗

문명의 시작은 단순한 생존에서 벗어나 인간이 자신과 세계를 구조화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그 중심에는 농경과 도시의 출현이 있으며, 이는 메소포타미아와 같은 지역에서 농업 혁명과 문자의 발명을 통해 구현되었다. 고대 문명은 천문학, 수학, 기록 문화와 더불어 인간의 의식 세계까지 규율하게 되었고, 이는 철학과 종교, 법과 윤리라는 지적 구조로 확장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살펴보자. 이곳은 아나톨리아 고원에 비해 강수량은 부족하지만,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의 상류에서 흘러와 퇴적된 비옥하고 넓은 땅이 있었다. 현재는 매우 건조한 지역이지만 신석기 시대 전반부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비가 내렸다. 기원전 6500년경부터 밀과 보리가 경작되면서 초기 형태의 문명이 시작되었다. 기원전 5500년 무렵에 이르자 문자로 기록된 문명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메르 문명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문명의 태동 이후, 인간은 삶의 조건뿐 아니라 사유의 방향을 정립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는 이러한 사유의 전환점을 이룬 공간이었다. 철학은 자연과 인간, 윤리와 공동체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졌고, 그리스는 이러한 질문을 제도와 교육, 정치에 녹여내는 데 성공했다. 소크라테스는 대화를 통해 무지를 자각시키고, 플라톤은 이데아라는 관념 세계를 제시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과 질료의 이론을 통해 존재론과 자연학의 틀을 만들었다.


“소피스트들의 사상은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할 내용들이 분명히 있다. 하지만 그 사상이 내포한 극단적 상대주의와 도덕적 허무주의는 경계해야 할 위험이다.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공동체의 가치를 지키는 것, 상대주의적 사상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한계를 인식하는 것, 그리고 말의 힘을 인정하면서도 진실이 왜곡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 이 모두 민주주의 사회가 소피스트들로부터 배워야 할 교훈일 것이다.”


1095페이지 / 현재 32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270 【진로취업과】(타기관 행사 홍보)제주청년 일일 일경.. 진로취업과 2025-06-24 3343
21269 <마감>[해양과학대학] 2025학년도 제1학기 국가근로장.. 1 해양과학대학 2025-06-24 3278
21268 [제주대학교 RISE사업단] 학내 외국인 유학생(학부생).. 2 제주대학교 RISE사업단 2025-06-24 3469
21267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25년 한.일본 국가간 청소.. 2 대학본부 2025-06-24 2405
21266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25년 한.일본 국가간 청소.. 2 대학본부 2025-06-24 2476
21265 (마감교외근로 추가모집)2025.1학기 국가근로장학생 .. 대학본부 2025-06-24 3573
21264 2025년 제7회 제주대학교 대학회계무기계약직(행정사.. 1 총무과 2025-06-24 3173
21263 2025년도 하반기 (재)제주대학교발전기금 운영 생활관.. 1 제주대학교발전기금 2025-06-24 3128
21262 2025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 참여기업 및 청년 모집 공.. 3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6-23 2345
21261 2025년 제2회 제주대학교 청년인턴 서류전형 합격자 .. 1 총무과 2025-06-23 3510
21260 기업·직무 취업스터디 JOB ON 1기 모집(~7/6).. 진로취업과&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6-23 4499
21259 (육성)2025 수의과대학 글로벌 현장교육 프로그램.. 수의과대학 부설동물병원 2025-06-23 2342
21258 [입학처] 2025년 아라진로멘토 모집(고교 방문 멘토링.. 1 입학처 2025-06-23 3147
21257 [교무과] 2025학년도 1학기 국가 근로장학생 대체자 .. 1 교무과 2025-06-23 3151
21256 [행정안전부] 2025년 지방자치 청년 정책 경진대회 개.. 1 대학본부 2025-06-23 2379
21255 📢2025 창업동아리 2차 모집 재안내 (~6/29(일)).. 1 제주대학교 창업지원단 2025-06-23 3922
21254 「책 읽는 제주대학교」 6월 4주차 중앙도서관 2025-06-23 2719
21253 [제주관광공사&제주인적자원개발위원회]`Ready to SWI..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5-06-23 2286
21252 (진주교육대학교)도서관 독서 멘토링 대학생 멘토 모.. 1 학생복지과(학생) 2025-06-23 2737
21251 (경상북도)APEC 2025 KOREA 자원봉사자 모집 .. 2 학생복지과(학생) 2025-06-23 2699

... 31 32 33 34 35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