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7월 5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7-28 09:18:22      ·조회수 : 2,925     

제주대 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제주대학교의 모습을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아침독서 바로가기 <서스펜스 사전>

 
◈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이야기에는 감정이 필요하다

인간으로서 우리는 새로운 경험을 좋아한다. 색다른 경험이 늘어날수록 삶을 풍성하게 누리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과 가족, 사회적 의무나 물리적 한계, 재정적 압박, 빠듯한 일정 탓에 원하는 일을 다 해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고 빠져든다.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삶을 살고, 낯선 현실을 마주하고, 자신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믿는 이들의 발자취를 따라 걸을 수 있다.

이때 이야기가 제힘을 발휘하려면 감정이 필요하다. 그것도 아주 많이. 감정은 독자가 자신의 현실에서 벗어나 환상 속 세계로 접어들게 하는 다리다. 이야기 속 캐릭터가 진짜 사람과 똑같이 무언가를 욕망하고 감탄하며 때로는 좌절해야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릭터의 목표나 도전 과제가 생소할지라도 캐릭터가 겪는 감정은 보편적이다. 예를 들어 고생해서 뭔가를 성취했을 때 밀려드는 보람이 어떤 것인지는 누구나 알기에 사랑스러운 캐릭터가 그런 상황을 맞이하면 독자들은 공감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감정은 인간 경험의 핵심인 만큼 글로 쓰기도 쉽지 않을까? 천만의 말씀. 실제로는 캐릭터를 사실적으로 묘사할수록 감정을 글로 담아내기가 까다로워진다. 현실적인 캐릭터는 진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사람들은 대개 남에게 비판이나 간섭을 받아 불편해지기 싫어서 격한 감정을 꼭꼭 감추기 때문이다.

이럴 때 효과적인 전략으로는 감정 기폭제를 동원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기폭제란 캐릭터가 평정심을 잃고 비판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도록 감정을 증폭시키는 특정 상황이나 조건을 뜻한다. ‘주의 산만’ ‘사별’ ‘탈진’은 감정을 자극하는 기폭제의 좋은 예다. 차곡차곡 쌓인 감정의 젠가 탑을 위태롭게 흔드는 나무토막이라 할 수 있겠다.

열이 나고 온몸이 쑤시는 채로 잠에서 깬 제이크라는 캐릭터를 예로 들어보자. 몇 번이나 미뤄진 승진을 목전에 둔 제이크는 병가를 내기가 껄끄러워 마지못해 샤워를 하고 출근한다. 창고에 도착해서는 늘 하던 대로 지게차에 올라타 화물을 적하장으로 옮겨 트럭에 싣는다. 오늘따라 팀원이 두 명이나 결근해서 근무가 더욱 고되다. 뭘 해도 훨씬 힘이 들고 머리가 핑핑 돈다. 소음도 귀에 거슬린다. 끈적한 시럽 속에서 헤엄치는 듯한 느낌이지만 일은 두 배로 빨리 해야 할 판이다. 서두르며 이리저리 움직이자니 현기증이 난다. 거들어주겠다던 현장감독은 어딜 갔는지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기폭제는 캐릭터가 기존에 감당하던 현실에 더해 부담을 가하는 조건이나 상황을 가리킨다. 해결하기 까다로운 갈등을 초래하고 감정을 자극하는 기폭제는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불안정을 불러일으킨다. 이로 인해 캐릭터는 차분히 상황을 고려하거나 감정을 통제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다 다른 데 정신이 팔리면서 신경이 곤두서거나 방심하기까지 하면 중요한 것을 깜빡하거나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커진다.

감정 기폭제는 크든 작든 캐릭터를 궁지로 몰아넣기에 안성맞춤이고, 가끔은 그래야만 이야기가 진행된다. 항상 올바른 선택만 하는 똑똑하고 지혜로운 캐릭터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다. 하지만 실수를 저지르고, 자제심을 잃고, 입조심을 못 하는 캐릭터라면 대환영이다! 과민 반응을 보였다가 후회한 경험은 누구나 있기에 우리는 이런 캐릭터에게 자연스레 공감하게 된다.


1094페이지 / 현재 22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459 내 마음 봄 무인정신건강검진기 이벤트 알림.. 건강증진센터 2025-08-21 2798
21458 2025년 후반기 전문사관(교수) 선발 안내.. 1 대학본부 2025-08-20 2699
21457 제12기 과학기술전문사관 학사 후보생 모집 선발 공고.. 1 학생복지과 2025-08-20 2548
21456 2025년 제3회 제주대학교 한시임기제공무원 8호(해양.. 1 총무과 2025-08-20 2774
21455 [WISET제주지역센터] 2025학년도 2학기 교내 근로장학.. 1 WISET제주지역센터 2025-08-19 4255
21454 2025년 DATA, 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안내 학생복지과 2025-08-19 2854
21453 [학생상담센터] 2025학년도 2학기 교내 근로 장학생 (.. 1 학생상담센터 2025-08-19 3530
21452 [제주특별자치도 노동권익센터] 노동연대 시리즈 강의.. 인권센터 2025-08-19 2577
21451 [세미나] AI시대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다 .. 제주산학융합원 2025-08-19 2330
21450 이스트소프트와 함께하는 생성형 AI 활용 나만의 챗봇.. 제주산학융합원 2025-08-19 2389
21449 2025년 연구실 정기점검 결과 알림 대학본부 2025-08-19 2707
21448 (육성)2025. 성공적인 해외연수를 위한 Making Speake.. 1 국제교류처 2025-08-19 3466
21447 (교육혁신과-교양강의동) 2025-2학기 교내근로 장학생.. 2 교육혁신과 2025-08-18 3896
21446 2025학년도 제2학기 "JNU E-Buddy" 외국인 교류수학생.. 1 국제교류처 2025-08-18 3947
21445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청년대상 선발 안내.. 2 학생복지과(학생) 2025-08-18 4738
21444 제주대신문 76기 수습기자 모집 2 신문방송출판부 2025-08-18 2861
21443 (보건의료통합봉사회)2025 하반기 자원봉사자 모집.. 3 학생복지과(학생) 2025-08-18 2702
21442 2025년 회계사·세무사 시험준비반 입반시험(하계) 접.. 진로취업과 2025-08-18 3269
21441 [RISE사업단] 2025년 新수눌음 늘봄강사양성 역량강화.. 2 RISE사업단 2025-08-18 3645
21440 [제주문화예술재단] 2025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 2 대학본부 2025-08-18 2553

... 21 22 23 24 25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