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3월 2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3-10 09:52:32      ·조회수 : 1,958     

제주대 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제주대학교의 모습을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아침독서 바로가기 <우리는 왜 공허한가>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 책 소개


우리는 왜 공허한가


추상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현대인의 공허,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이유

삶, 누가 낸 문제이기에 이리도 어려운지

현대인은 삶의 의미를 외부에서 찾기보다는 자기 자신을 궁극적인 삶의 의미를 실현하는 '매개체'로 여긴다. 그러나 이 매개체는 수많은 사회적 현실 속에서 좌절하고 상처를 받으며, 삶에 찌든 모습으로 살아간다. 그리하여 인생의 의미나 삶의 의미를 이야기하기에는 힘겨워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는 대체 그 의미를 어디에 두어야 할까? 그렇다고 다시 예전의 전통 사회로 돌아가 보이지도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 형이상학적인 신성한 것에 인생의 의미를 둘 수는 없다. 그래서 지금의 현대인은 삶의 의미를 완전히 상실했다고 말하기보다는 그 의미를 어디에 두어야 할지 몰라 헤매고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인류는 현대 사회라는 거대한 시스템에 발을 들이고 일종의 '환멸 주의'가 만연한 세상에 살게 되면서 궁극적인 삶의 의미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베버는 프로테스탄트에 관한 이론을 펼치면서 현대 사회 속에서의 '직업'을 '천직'이라 칭했다. 이는 하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뜻이다. 간단히 말해 베버는 현대 문명 속 개체가 직업의 세계에 발을 들이는 것이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돈 버는 행위가 아니라, 신이 부여한 신성한 사명을 이행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그는 삶의 의미가 바로 이 과정 속에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 베버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사회학자였던 뒤르켐도 『직업윤리와 시민 도덕』에서 인류가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 진입하면서 사회의 분업 체계가 나날이 복잡해졌고, 그에 따라 직업 적 커리어가 사람들의 일상 속 대부분의 시간과 에너지를 차지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직 업이 실질적으로 시민 도덕을 양성하는 중요한 직책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종교는 교리를 통 해, 정치는 충성심을 통해, 혈연은 효를 통해 도덕을 길러내는 것처럼 시민 도덕은 직업을 통해 실현된다고 말했다.


1096페이지 / 현재 174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455 [대학원논문글쓰기센터 / BK21 대학원혁신] 2023 '대.. 1 대학원혁신실(대학원논문글쓰기센터) 2023-08-02 1219
18454 2023년 디즈니월드 해외인턴십 연수생 추가모집 안내(.. 2 진로취업과 2023-08-01 2381
18453 [교수학습지원센터] 2023년 8월 학습지원, 비교과 프.. 교수학습지원센터 2023-08-01 1654
18452 [교수학습지원센터] 2023년 8월 교수지원 프로그램 안.. 교수학습지원센터 2023-08-01 1396
18451 [입학본부] 전공체험의 날(전공박람회) 참여 학생 모.. 2 입학관리과 2023-08-01 1985
18450 [평생교육원] 2023학년도 2학기 일반강좌 수강생 모집.. 1 평생교육원 2023-08-01 1869
18449 [환경보전협회] 지구를 지키는 20초 환경 숏폼 공모전.. 1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846
18448 2023년 대한민국 인재상 선발 안내 2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810
18447 [제주특별자치도] 2023년 청년을 제주로 '제주에 진심..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917
1844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년 디지털정부 Young F.. 1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896
18445 2023년 제7회 대학회계무기계약직(환경미화 조경) 연.. 1 총무 2023-07-31 1718
18444 [국회사무처] 2023년도 국회 대학(원)생 아카데미(1차.. 1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686
18443 「책읽는 제주대학교」 8월 1주차 중앙도서관 2023-07-31 1485
18442 2023 행정규제 개선 과제 공모 참여 및 홍보 요청.. 1 사무국 2023-07-31 1853
18441 [제주특별자치도] 2023 국제청소년 사이버환경포럼 개.. 2 학생복지과(학생) 2023-07-31 1676
18440 [학생생활관] 2023학년도 학생생활관 기혼자숙소 입주.. 3 학생생활관 2023-07-31 1888
18439 2023년도「2주기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2.. 1 미래융합대학 2023-07-28 2803
18438 (수정) [지역선도] GRAET 찾아가는 제주미래(수원) 답.. 전략기획과 2023-07-28 2632
18437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민물고기 특별전 개.. 학생복지과(학생) 2023-07-28 1969
18436 [남원시] 2023 남원 세계드론제전 서포터즈 모집 안내.. 1 학생복지과(학생) 2023-07-28 1780

... 171 172 173 174 175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