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15]

대학소식

학생 성장의 요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대학

[ ] 「책 읽는 제주대학교」 7월 5주차

· 작성자 : 중앙도서관      ·작성일 : 2025-07-28 09:18:22      ·조회수 : 3,243     

제주대 도서관에서는 책 읽는 제주대학교의 모습을 위해 매주 아침독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아침독서 바로가기 <서스펜스 사전>

 
◈ 모바일 아침독서 바로가기
※ 모바일 접속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는 < 대학NO: jejunuac   ID: jejunuac   이름: 제주대학교> 


이야기에는 감정이 필요하다

인간으로서 우리는 새로운 경험을 좋아한다. 색다른 경험이 늘어날수록 삶을 풍성하게 누리는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과 가족, 사회적 의무나 물리적 한계, 재정적 압박, 빠듯한 일정 탓에 원하는 일을 다 해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고 빠져든다.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삶을 살고, 낯선 현실을 마주하고, 자신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믿는 이들의 발자취를 따라 걸을 수 있다.

이때 이야기가 제힘을 발휘하려면 감정이 필요하다. 그것도 아주 많이. 감정은 독자가 자신의 현실에서 벗어나 환상 속 세계로 접어들게 하는 다리다. 이야기 속 캐릭터가 진짜 사람과 똑같이 무언가를 욕망하고 감탄하며 때로는 좌절해야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릭터의 목표나 도전 과제가 생소할지라도 캐릭터가 겪는 감정은 보편적이다. 예를 들어 고생해서 뭔가를 성취했을 때 밀려드는 보람이 어떤 것인지는 누구나 알기에 사랑스러운 캐릭터가 그런 상황을 맞이하면 독자들은 공감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감정은 인간 경험의 핵심인 만큼 글로 쓰기도 쉽지 않을까? 천만의 말씀. 실제로는 캐릭터를 사실적으로 묘사할수록 감정을 글로 담아내기가 까다로워진다. 현실적인 캐릭터는 진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사람들은 대개 남에게 비판이나 간섭을 받아 불편해지기 싫어서 격한 감정을 꼭꼭 감추기 때문이다.

이럴 때 효과적인 전략으로는 감정 기폭제를 동원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기폭제란 캐릭터가 평정심을 잃고 비판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도록 감정을 증폭시키는 특정 상황이나 조건을 뜻한다. ‘주의 산만’ ‘사별’ ‘탈진’은 감정을 자극하는 기폭제의 좋은 예다. 차곡차곡 쌓인 감정의 젠가 탑을 위태롭게 흔드는 나무토막이라 할 수 있겠다.

열이 나고 온몸이 쑤시는 채로 잠에서 깬 제이크라는 캐릭터를 예로 들어보자. 몇 번이나 미뤄진 승진을 목전에 둔 제이크는 병가를 내기가 껄끄러워 마지못해 샤워를 하고 출근한다. 창고에 도착해서는 늘 하던 대로 지게차에 올라타 화물을 적하장으로 옮겨 트럭에 싣는다. 오늘따라 팀원이 두 명이나 결근해서 근무가 더욱 고되다. 뭘 해도 훨씬 힘이 들고 머리가 핑핑 돈다. 소음도 귀에 거슬린다. 끈적한 시럽 속에서 헤엄치는 듯한 느낌이지만 일은 두 배로 빨리 해야 할 판이다. 서두르며 이리저리 움직이자니 현기증이 난다. 거들어주겠다던 현장감독은 어딜 갔는지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기폭제는 캐릭터가 기존에 감당하던 현실에 더해 부담을 가하는 조건이나 상황을 가리킨다. 해결하기 까다로운 갈등을 초래하고 감정을 자극하는 기폭제는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불안정을 불러일으킨다. 이로 인해 캐릭터는 차분히 상황을 고려하거나 감정을 통제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다 다른 데 정신이 팔리면서 신경이 곤두서거나 방심하기까지 하면 중요한 것을 깜빡하거나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커진다.

감정 기폭제는 크든 작든 캐릭터를 궁지로 몰아넣기에 안성맞춤이고, 가끔은 그래야만 이야기가 진행된다. 항상 올바른 선택만 하는 똑똑하고 지혜로운 캐릭터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다. 하지만 실수를 저지르고, 자제심을 잃고, 입조심을 못 하는 캐릭터라면 대환영이다! 과민 반응을 보였다가 후회한 경험은 누구나 있기에 우리는 이런 캐릭터에게 자연스레 공감하게 된다.


1096페이지 / 현재 116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609 [한국문화재재단] 제3회 대학생 유네스코 인류무형문.. 1 대학본부 2024-04-30 11436
19608 [제주특별자치도] 2024년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 안내.. 3 대학본부 2024-04-30 11573
19607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서울대학교 KOSSDA 대학생 공모.. 1 대학본부 2024-04-30 9158
19606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립생약자원관 제주센터 전.. 1 대학본부 2024-04-30 5012
19605 [성신여대] 2024학년도 인공지능 활용 실무 기초 과정.. 대학본부 2024-04-30 1735
19604 2024년 제2차 제주대학교 청년인턴(행정) 채용 모집 .. 1 총무과 2024-04-29 7215
19603 「펄어비스」 채용연계형 현장실습(학점부여) 참여자 .. 4 현장실습지원센터 2024-04-29 7062
19602 [총무과] 2024년 상반기 제2회 교통관리 업무보조 학.. 1 총무과 2024-04-29 5384
19601 '근로자의 날' 종합서비스센터 휴무 안내.. 교육혁신과 2024-04-29 3948
19600 [지식재산교육센터] 2024 대학-고등학교 연합 지식재.. 1 지식재산교육센터 2024-04-29 3411
19599 LINC 3.0 x NH농협 취업아카데미 7기 모집 안내.. 1 LINC 3.0 사업단 2024-04-26 7794
19598 [RIS 지능형서비스사업단] 2024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1 제주지역혁신플랫폼 지능형서비스사업단 2024-04-26 7884
19597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CJ와 함께하는 2024 Remote I.. 1 현장실습지원센터 2024-04-26 7874
19596 [MINI JOB FAIR]BGF로지스 채용상담회(CU모바일 상품..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4-04-26 7239
19595 (사회복지법인 성안복지재단) 2024년 조손가정지원사.. 학생복지과(학생) 2024-04-25 23902
19594 (건강증진센터) 체성분검사 일시 중지 안내(2024.4.25.. 건강증진센터 2024-04-25 6487
19593 [대학일자리+센터] 일본 취업 트렌드와 취업전략 교육..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4-04-25 3740
19592 2024년 파란사다리 파견 프로그램 선발 안내.. 4 국제교류처 2024-04-25 4893
19591 [MINI JOB FAIR]공무원연금공단 채용설명회 & 재직 졸..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2024-04-25 4399
19590 2024 제주미식축제 제9회 제주푸드앤와인페스티벌.. 2 학생복지과(학생) 2024-04-24 8003

... 116 117 118 119 120 ...


TOP